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사회2부 서상희 기자 나왔습니다. 사고 당시 어떤 상황이었는지, 짚어봐야 할 거 같은데요. <br><br>네 저희에게 제보 주신 분들은 "가까스로 빠져나왔다" "급박한 상황이었다" 말씀하셨는데요. <br><br>현장 영상을 보시죠. <br> <br>블랙박스에 찍힌 시간으로 보면 오전 8시 30분, 첫 침수 신고 15분 전 상황입니다. <br> <br>차량이 지하차도 중간을 지나자 앞쪽 출구에서 흙탕물이 밀려 들어옵니다. <br> <br>차량들, 물을 피해 중앙분리대 쪽으로 바짝 붙어서 운행합니다. <br> <br>불과 10초 만에 앞에 달리는 SUV 바퀴가 잠길 정도로 물이 차오르는데요. <br> <br>이때부터 앞 차량의 속도가 점점 줄어듭니다. <br> <br>앞차량과 블랙박스 차량 바퀴 쪽에서도 물이 차량 높이만큼 튀어 오를 정도로 불어난 모습인데요. <br> <br>터널 출구 쪽으로 갈수록 물살이 훨씬 더 강합니다. <br> <br>간신히 이 차량들은 빠져나왔는데요. <br> <br>잠깐 보셨는지 모르겠지만 반대편 차선으로는 차량들이 흙탕물이 차오르는 터널 안으로 들어가는 모습도 담겼습니다.<br> <br>[질문2] 조금 전 영상에서도 보셨지만, 순식간에 물이 밀려드는 모습입니다. <br><br>네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사고 직후 화면을 보시죠. <br> <br>약 15분 뒤 오전 8시 45분쯤 모습인데요.<br> <br>지하차도 안으로 흙탕물이 걷잡을 수 없이 빨려 들어가는 모습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빨간색 시내버스는 이미 잠긴 상태입니다.<br> <br>약 15분 뒤인 오전 9시쯤 상황이 담긴 사진도 저희가 입수했는데요. <br> <br>소방대원들이 지하차도에서 가까스로 탈출한 시민들을 구하는 모습입니다. <br> <br>당시 신고자 분과 통화를 했는데요.<br> <br>상황 들어보시죠.<br> <br>[김용순 / 신고자] <br>"막 살려달라고 살려달라고 막 그래요. 차가 잠기게 생겼어.꼭대기만 남은 거예요. 살려달라고 막 그러길래 119 불러줄게요 112 먼저 신고하고 119 신고하고.…" <br><br>[질문3]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고 하지만, 사전 징후들도 분명 있었을 거 같아요. <br><br>맞습니다. <br><br>시간을 좀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. <br> <br>사고 발생 1시간 전, 오전 7시 30분 상황이 담긴 짧은 영상을 저희가 입수했습니다. <br> <br>사고가 발생한 지하차도 인근인데요. <br> <br>화면에서 오른쪽이, 미호천이고 가운데 이번에 유실됐다는 제방입니다. <br> <br>큰비에 제방이 걱정돼서, 이 근처를 지나던 전 이장님이 촬영하셨다는데요. <br> <br>잠시 뒤 이 제방 일부분이 터지며 물이 쏟아지는 모습 보이죠.<br> <br>물이 콸콸 흘러넘치는데요. <br><br>이게 어제 오전 8시 쯤이었습니다.<br> <br>마을 주민들은 비가 온다고 예보가 돼 있었던 만큼 사전에 더 철저하게 준비했어야 한다,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4] 저도 그 부분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. 이런 참사를 막을 방법은 없었을까,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. 많은 실종자 분들이 발견된 버스가 원래 지하차도를 통과하는 노선이 아니었다면서요.<br><br>네 맞습니다. <br><br>취재를 해보니까요, 747번 버스는 폭우로 원래 다니던 노선을 우회했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경찰에 따르면 당시 이 버스가 가야 하는 노선의 일부 구간이 사람 허리까지 빗물이 들어찬 상태라 통제가 안 됐던 지하차도로 우회 운행을 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[질문5] 그래서 도로 통제 같은 조치가 사전에 필요했다 이런 지적이 나오고 있는 거군요. <br><br>맞습니다. 사고가 난 지하차도 구조를 다시 보실까요. <br> <br>터널 길이는 430미터에 달하는데요.<br> <br>가운데가 파인 구조 형태입니다. <br> <br>움푹 들어가 있어 물을 담아두는 구조다 보니 지하차도 안에 6만 톤의 물이 지하차도를 덮치자 빠져나오기 쉽지 않았습니다.<br> <br>자동 차단 시설도 설치 예정은 있었지만 실제 설치는 안 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도로 통제 이야기가 나오는 건데요. <br> <br>저희가 금강홍수통제소에 시간대별 조치를 확인을 해보니 사고 당일 오전 4시 10분 이미 미호천 수위는 홍수 경보 기준인 8m에 달했고 오전 6시 30분 9m가 넘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통제소는 오전 6시 35분 청주시 등 지자체에 주의를 당부했지만, 지하차도에 대한 통행 제한 조치 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건데요.<br> <br>지자체는 전화를 받은 건 맞지만 교통 통제하라는 내용은 아니었고 차도에 대한 통제 권한이 없었다고 말하는데요. <br> <br>여름철마다 반복되는 지하차도 사고에 대한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봐야 합니다.<br> <br>아는기자 서상희 기자였습니다.<br>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ichannela.com